엠넷 '프로듀스' 시리즈를 조작한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은 안준영 PD가 엠넷 음악 콘텐츠 사업부에 재입사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인지 알아볼까요?
상장사인 CJ ENM이 ESG 경영 원칙에 위배될 수 있는 의사결정을 두고 업계 전반에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안 PD가 과거 일부 기획사 관계자로부터 향응을 받은 사례도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안준영 PD는 김용범 CP와 공모해 2019년 총 4회를 방영한 '프로듀스' 시리즈에서 순위를 조작한 혐의를 받았습니다. 데뷔가 확정된 멤버들을 밀어내고 탈락 멤버들의 순위를 올려 그룹으로 데뷔했습니다.
스타쉽, 울림, 8D 등 일부 기획사 관계자들로부터 40차례에 걸쳐 4천만 원 상당의 향응을 받은 혐의로 기소된 안준영 PD에게 징역 2년과 벌금 3천700만 원이 선고됐습니다. 당시 CJ ENM은 순위 조작 사건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고 대국민 사과를 했습니다. '프로듀스' 진상조사위는 CJ ENM도 결과 조작에 관여했다고 주장했지만, CJ ENM은 "개인 일탈"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승부조작에 가담한 프로축구팀이 또다시 축구선수를 운영하고 있다면 어떨까요. 바로 CJ ENM이 결정한 것입니다. 안 PD는 "과거의 잘못을 절실하게 반성하고 엠넷과 개인의 신뢰를 회복하는 역할을 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사건 당시 '개인의 일탈'이라고 선을 그었던 CJ ENM이 이제는 개인의 잘못을 용서한다는 것은 국민들이 쉽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CJ ENM의 이해할 수 없는 결정을 두고 업계에서는 다양한 추측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우선 과거 제작진이 주도권을 쥐었을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결과 조작 과정에 CJ ENM 경영진이 개입했는지도 실제 사건의 핵심 쟁점이었습니다. 증거가 부족해 윗선 개입이 입증되지는 않았지만, 언제 재진입이 이뤄지는지 궁금할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 분위기입니다. 사실 사건 당시 CJ ENM이 개인의 일탈이라며 개인을 상대로 한 소송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은 것도 이런 의구심을 증폭시키는 이유입니다. 당시 CJ ENM 측은 "상황에 따라 내부 논의를 거쳐 조치하겠다"고만 밝혔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개인이 중대한 일탈로 회사에 피해를 입혔을 때 업무방해 등 형사고발과 함께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에는 CJ ENM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주가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2018년 7월 29만4천원에 달했던 CJ ENM 주가는 이듬해 초 조작 파문 여파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반 토막이 났습니다. 텐아시아 DB 일각에서는 CJ ENM의 전략적 선택이라는 평가도 나옵니다. 최근 실적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찬밥 더운밥을 가릴 처지가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CJ ENM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1374억 원으로 전년 대비 53.7% 감소했습니다. 올해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도 4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역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는 2427억 원이지만 이 역시 2021년보다 낮습니다. 영화 부문은 거의 100억 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됩니다. 음악 부문은 700억 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증가세는 둔화되고 있습니다. 사업 전반에 걸쳐 상승 동력을 잃은 CJ ENM 입장에서는 음원 부문의 추가 상승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그는 비판을 받더라도 이익을 낼 생각입니다. 문제는 이런 결정이 소비자뿐만 아니라 투자자에게도 위험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입니다.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투자환경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실적이 좋아지더라도 CJ ENM에 대한 신뢰 회복과 투자심리에 오히려 악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조작 사건 이후에도 CJ ENM은 생존 프로그램을 계속 제작하고 있습니다. '걸스 플래닛'으로 한중일 합작 걸그룹 케플러가 탄생했고, '보이즈 플래닛'도 한창입니다. 안준영 PD가 음악 콘텐츠 팀에 합류했습니다. 그가 만들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계획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Mnet과 안준영 PD의 그림은 그리 아름답지 않습니다.
댓글